버스도 지하철도 '공짜'는 아니다
서울 지하철은 무료, 부산은 제한적, 어떤 지역은 버스도 공짜인데 나는 왜 돈을 내지?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신 적 있으시죠?
사실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단순히 나이만 차면 바로 되는 건 아닙니다.
지역마다 다르고, 대상도 다르고, 혜택도 조금씩 다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어떤 혜택이 주어지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진짜 무료인지,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 경로우대 교통카드란?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대중교통 이용 시 요금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국가가 아닌 지자체에서 운영하며, 혜택 범위도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다릅니다.
✔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은 지하철 전 구간 무료
✔ 일부 광역시는 시내버스 무료 탑승 가능
✔ 광역버스, 고속버스, KTX 등은 해당되지 않음
🗺 어떤 지역이 지하철 무료인가요?
-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 전부 무료
- 경기도: 수도권 전철 모든 구간 (인천 포함) 무료
- 인천광역시: 인천 1·2호선, 수도권 연계 지하철 모두 무료
🔸 어떻게 무료가 되나요?
→ **경로우대 교통카드(노인복지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요.
지하철 개찰구에 찍으면 그냥 지나가집니다. 요금 차감 안 됩니다.
🚌 버스는 무조건 무료일까?
그렇지 않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은 버스는 유료입니다.
다만, 아래 지역은 시내버스 무료 혹은 할인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
대전광역시 | 시내버스 무료 (만 70세 이상) |
광주광역시 | 지하철만 무료 |
울산광역시 | 시내버스 무료 |
전라북도 전주시 | 일부 노선 무료 |
경상북도 구미시 | 시내버스 50% 할인 |
제주특별자치도 | 도내 시내·농어촌 버스 전 구간 무료 |
※ 지역별 예산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며, 조건 충족 시에만 발급 가능
📝 신청은 어떻게?
어르신께서 직접 신청해야 하며, 아래처럼 진행됩니다.
📍 신청처
- 거주지 동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노인복지과
- 본인 신분증, 사진, 교통카드 기능 포함된 복지카드 신청
- 처리기간: 보통 2주 내외
※ 일부 지역은 자동 발급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직접 신청해야 혜택 적용됩니다.
💳 카드 종류는 어떻게?
보통은 복지카드 또는 경로우대 교통카드라는 이름으로 발급됩니다.
- 후불 교통카드 기능 포함
- T-money (티머니), Cashbee (캐시비) 연동 가능
- 카드사 연계된 신용카드와 통합도 가능 (예: 우리카드 시니어형)
🧓 실제 사례
서울에 사는 제 아버지는 68세.
지하철 탈 때마다 그냥 찍고 들어가요.
서울, 경기, 인천 지하철은 다 무료니까요.
하지만 대전으로 놀러 갔다가 버스 탈 때, 그냥 타셨다가
“어르신, 이건 유료입니다” 하시더라고요.
알고 보니 대전은 만 70세 이상만 버스가 무료였던 거죠.
그래서 다른 지역 가실 땐 꼭 확인하고 가야 해요.
경로우대는 전국 공통이 아닙니다!
❗ 유의사항
- 광역버스, 고속버스, 마을버스 등은 대상 아님
- 무임승차 시간대 제한 논의 중 (2025년 서울시 논의 중)
- 지하철 전 구간 무료라도 카드 발급 없이는 불가능
- 복지카드 도난/분실 시에는 재발급 비용 발생
💬 자주 묻는 질문
Q. 지하철 무료인데 왜 카드 찍어요?
🅰️ 무임승차도 '탑승기록'은 남겨야 하므로 반드시 태그(찍기)해야 합니다.
Q. 다른 지역 지하철도 무료인가요?
🅰️ 수도권 지하철 대부분 무료, 지방은 지역별로 다릅니다.
Q. KTX, 고속버스도 할인 되나요?
🅰️ 별도의 할인 제도는 없음. 일부 고속버스 회사만 자율 할인 운영 중.
Q. 장애인복지카드와 중복 가능한가요?
🅰️ 일부 혜택은 중복되나, 교통요금은 별도 적용 기준 필요
2025년 변화 사항
- 서울시: 지하철 무임승차 비용 문제로 시간제한 또는 정액제 검토 중
- 부산시: 경로우대 제도 확대 여부 검토
- 지방 중소도시: 경로 교통카드 발급 연령 상향 (65 → 70세 검토)
마무리하며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단순한 ‘할인카드’가 아닙니다.
고령 사회에서 어르신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
하지만, 지역마다 다르다는 점, 자동이 아니라 신청제라는 점,
그리고 버스와 지하철의 차이는 꼭 기억해두셔야 해요.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지하철 탈 때
“그냥 탑승하지 말고 교통카드 꼭 찍으시라”
이 말씀 한번 해드리면 도움이 될 거예요!